데이터로 해석하는 투자의 양자도약

투자 지식 | 퀀트 분석 | 시장 해석 | 데이터 시각화

🎓 투자 교실 (Trading School)

“저평가 + 무차입 + 풍부한 현금흐름 + R&D 집착” 기업을 찾는 5가지 테마별 스크리닝 로드맵

트레이더Q 2025. 8. 5. 20:05
반응형

“저평가 + 무차입 + 풍부한 현금흐름 + R&D 집착” 기업을 찾는 5가지 테마별 스크리닝 로드맵

핵심 원칙: 가치(Valuation)·질(Quality)·미래성장(Research) 세 축을 동시에 충족하는 종목만 최종 후보군에 남긴다.

테마 필터 핵심 이 테마가 먹히는 이유

① Net‑Cash Compounders • Net Debt ≤ 0• 현금 / 총자산 ≥ 25%• ROIC > 10%·최근 3년 평균 무차입이므로 경기 하강기에도 파산 리스크 ↓, surplus 현금으로 M&A · 자사주·배당 여력 ↑ (Investopedia)
② FCF Yield Bargains • FCF Yield ≥ 8% (EV 기준)• 5년 FCF CAGR > 5%• CapEx/OCF < 50% “회계 이익 착시” 배제, 현금 생성력으로 절대·상대 저평가 여부 파악 (thesovereigninvestor.net)
③ R&D Heavy but Cheap • R&D/Revenue ≥ 10% (IT·헬스케어는 15%)• EV/Revenue ≤ 2.0 또는 PER ≤ 15 높은 미래 옵션(파이프라인·IP)을 갖고도 아직 주가에 성장 옵션이 반영되지 않은 케이스 (Investing for Beginners 101)
④ Piotroski Quality Value • P/B ≤ 1.5 & P/S ≤ 2.0 → Value 풀 구성• Piotroski F‑Score ≥ 7 → Quality 필터 전통적 저PER‐저PBR 함정(Value Trap)을 재무 건전성 9개 지표로 제거 (SpringerLink, gmtresearch.com)
⑤ Net‑Net / Cash‑Box Plays • (현금 – 총부채)/시가총액 ≥ 1.0 (즉 ‘주가 < 순현금’)• 시총 < 500M달러 (정보 비효율) 극단적 비관·소외 국면에서 회사 청산 가치 미만으로 거래되는 클래식 딥밸류 (Investopedia)

각 테마별 실전 세팅

1) Net‑Cash Compounders

  1. Screener 조건
    • ‘Total Debt’ = 0 OR ‘Net Debt’ < 0
    • Cash & ST Invest / Total Assets ≥ 0.25
    • ROIC 최근 3년 평균 > 10%
  2. 깊이 보기
    • _IR 자료_에서 현금 사용 계획(배당, M&A, R&D)을 확인.
    • 고령 현금(해외 현금) repatriation 세금·정책 리스크 체크.
  3. 주의: 장기간 저금리 환경에서 돈을 빌리지 않은 이유가 성장옵션 부족일 수도.

2) Free‑Cash‑Flow Yield Bargains

  1. 필터: FCF Yield (EV) ≥ 8% & 3Y FCF CAGR > 5%.
  2. EV를 사용할 것 – Net Cash 가 많은 기업은 FCF Yield 착시 발생.
  3. 퀄리티 보강: Gross Margin Stability & SG&A/Revenue 변동 폭 < ±2%p.
  4. 시뮬레이션 팁: 백테스트 시 영업현금흐름/순이익 비율 > 1인 케이스의 알파가 가장 높게 나타남. (캡스톤 연구 결과)

3) R&D Heavy but Cheap

  1. 스크린 값
    • R&D/Revenue ≥ 10% (Tech) 또는 7%(제조)
    • EV/Revenue ≤ 2 & Price/FCF ≤ 20
  2. 회계 이슈
    • 2022 미국 세법 개정 이후 R&D가 5년 상각 → 현금흐름 대비 순이익 둔화 착시 발생 가능.
  3. 정성 점검
    • 10‑K Item 1. “Business—R&D”에서 파이프라인·특허 만료 일정 체크.
    • R&D가 플랫폼 형(반도체 설계, 소프트웨어)는 다각화된 수익원으로 밸류에이션 재평가 여지 ↑.

4) Piotroski Quality Value

  1. 워치리스트 만들기
    • ‘Low P/B + Low P/S’로 전통 가치주 바스켓 형성.
    • Piotroski F‑Score ≥ 7 로 2차 필터 → 재무 탄탄한 소수 생존.
  2. 알고리즘 논리(9개 신호)
    • 수익성(ROA, CFO, ΔROA, CFO>Net Income)
    • 레버리지·유동성(ΔLeverage, ΔLiquidity, ΔShares)
    • 운영효율(ΔGross Margin, ΔAsset Turnover)
  3. 테스트 결과: 글로벌 시장에서도 고점수 포트가 저점수 대비 연 6~8% 초과수익 기록 (SpringerLink).

5) Net‑Net / Cash‑Box Plays

  1. Graham식 NCAV = 총유동자산 – 총부채; 시총 < 2/3 NCAV 조건.
  2. 스크린 보강: Operating Cash Flow 최근 3년 합계 양수, Insider Ownership > 5%.
  3. 리얼리티 체크
    • 소형주·OTC 비중 ↑, 유동성·지배구조 위험 크니 포트 비중 제한.
    • 청산가치 계산 시 재고·Receivables 할인 적용.

공통 프로세스 (Advanced Workflow)

  1. 1차 스크리닝: Finviz(무료), Koyfin, 또는 Python + SEC API로 자동화.
  2. 2차 워치리스트: 테마별 TOP ~ 50종목.
  3. 정성 검증
    • 10‑K Note, Earnings Call Transcript에서 경영진 자본배분·R&D 방향성 확인.
    • 세그먼트 데이터로 제품 Mix·지역 Mix 모멘텀 파악.
  4. 리밸류에이션
    • DCF·DCF‑Abbreviated(Owner’s Earnings) vs Peer Multiples 두 축으로 적정가 산출.
    • Net‑Cash·옵션가치(특허 파이프라인) 반영 시 SOTP(Sum‑of‑Parts) 활용.
  5. 리스크 헤지
    • 동일 섹터 ETF 숏 또는 인버스 ETF로 시장·금리 이벤트 베타 조정.
    • 파일럿 포지션 도입 → 실적 1~2분기 관찰 후 풀사이즈 확장.

한눈에 보는 주요 데이터 소스 & 도구

  • 공시: SEC EDGAR (10‑K, 10‑Q, DEF 14A)
  • 스캐너: Finviz Elite, Koyfin, FactSet (커스텀 Piotroski·NCAV 가능)
  • 백테스트: Portfolio123, Quantconnect (미국 전체 + 시대별 위험조정 수익률 측정)
  • 텍스트 분석: GPT‑4o로 Earnings Call Sentiment → R&D 키워드·CapEx 가이던스 추출
  • 논문·리서치: Journal of Asset Management (Piotroski 글로벌 확장 연구) (SpringerLink)

마무리 체크리스트 (실행 전 최종 질문)

  1. “이 기업은 왜 저평가인가?”— 일회성 악재인지 구조적 하락인지.
  2. “건전한 현금창출도 미래에 지속 가능한가?”— R&D → 신규 매출원 전환 속도.
  3. “밸류트랩 혹은 기술함정은 없는가?”— 제품 노후화, 규제, 특허 만료, ESG 리스크.

위 로드맵을 따라가면, 무차입·현금왕·연구집약형 가치주를 구조적·계량적·정성적 관점에서 한 번에 걸러낼 수 있습니다. 이제 직접 스크린을 돌려 워치리스트 를 만들어 보시길 권합니다.

반응형